우리에게 익숙한 할랄(Halal, 이슬람법에 허용된 항목을 뜻하는 말)은 식품에 국한되어 사용되는줄 알았으나,
샤리아(이슬람교의 율법이자 규범 체계)법에 허가 되는 모든 제품을 의미한다.
특히 할랄 인증은 말레이시아의 경우,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할랄 인증(JAKIM)을 하기에 No.1이라고!(이사람들이 말한다..)
Halal <=> Haram
이슬람에서 하나님께서 허용하신 것은「할랄(Halal)」이라고 하고, 금지하신 것은 「하람(Haram)」이라고 한다. 불법적인 방법으로 번 돈, 이자, 불륜의 성관계, 살인행위, 술, 돼지고기 등은 금기이다. 이슬람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일부 사람들은 이슬람의 율법이 엄하고 금기로 하는 것이 많은 까다로운 종교라고 알고 있지만 꾸란이나 예언자 무함마드(그분에게 하나님의 평화가 깃들기를)의 언행록인 하디스에서는 특별히 금지된 것들을 제외하고 모든 행위는 허용된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복잡하고 까다로운 것처럼 보이는 이슬람 율법은 몇 가지 금기 사항만 유의하면 모든 것이 허용되는 관대한 법이라는 것을 곧 깨닫게 된다.
MATRADE: 한국의 Kotra 같은 기관
MIHAS 박람회: 세계적인 할랄 박람회. 17년이나 되었고, 128개부스 44개국이 참여 (한국도 이미 24개 부스)
Thoyyiban: HACCP과 같은 개념 quality나 safety 등을 포괄하는 개념
Najs: 할랄에 사용하면 안되는것
- 동물(개,돼지)의 부산물 사용 X
- Khamr(포도주), 피가 있음 안됨
- 2살 이전의 아이는 반드시 엄마 젖을 먹어야 함 (이는 할랄 산업에 중요한 부분은 아님)
할랄 MS1500 인증
- 도축이나 먹는 부위도 샤리아법에 따라야 함
- najs에 부합해야 함
- 독성이 있으면 안됨
- 가공시 개나 돼지같은 것이 한공간에 있음 안됨
- ....
먹지 못하는 동물들
큰이를 가진 동물(포식자) - 못먹음
벌, 딱다구리 - 죽이지 말아야 함
당나귀 - 못먹음
수중 동물 - 독성이 있음 안되고, Najs에 부합되지 않은 동물은 먹지 말아야 함
할랄 인증시 필요 요소
1. 무슬림 도축자 필요
2. 장비와 도구(죽일 때마다 칼을 닦아야)
3. 할랄동물만 도축
4. 도축하는 방법 (ex. 치킨의 경우 핏줄 3개를 반드시 잘라서 핏물을 빼야함)
국제적으로 허용되는 할랄 제품
- 식음료(Food)
- 화장품(Cosmetics)
- 의약품(Pharmatics)
- 생활용품(Customer goods)